이세좌(李世佐) > 광주이씨 - 역사적인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광주이씨 - 역사적인물

acccbf1ee4bce4b3163fff0a141dadb8_1571742161_4737.jpg
 

acccbf1ee4bce4b3163fff0a141dadb8_1571742161_4737.jpg
 

이세좌(李世佐)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홈:귀암]_광호 작성일 07-12-06 06:50 조회 1,968회 댓글 0건

본문

1445(세종 27)∼1504(연산군 10).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맹언(孟彦). 광성군(廣城君) 극감(克堪)의 아들이다.

1477년(성종 8)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한 뒤, 대사간으로 특채되고, 1485년에 이조참판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광양군(廣陽君)의 봉호를 받았다.

1494년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로 성종의 국장의례 및 능(陵)축조를 담당하였으며, 이어 한성부판윤·호조판서를 거쳐 1496년(연산군 2)순변사로 여진족의 귀순처리와 회유책의 강구를 위하여 북방에 파견되었다.

1497년 이조판서에 임명되고, 이듬해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 및 그 제자를 극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거쳐 예조판서·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하였다.

1503년 인정전에서 열린 양로연(養老宴)에 참석, 어사주를 회배(回盃)할 때 어의(御衣)에 술을 엎지른 실수로 연산군의 분노를 사서 무안에 부처되었다가 다시 온성·평해에 이배되었다.

이듬해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비(尹妃)를 폐위할 때 극간하지 않았고, 이어 형방승지로서 윤비에게 사약을 전하였다 하여 다시 거제에 이배되던 중 곤양군 양포역(良浦驛)에서 자살의 명을 받고 목매어 자결하였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大東野乘. 〈李範稷〉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광주이씨 석전종중

  • 010-2068-2831
  • 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암
  • 제작/관리이광호
  • 로그인하셔야합니다.질문과답변, 자유게시판등
  • 질문과답변
Copyright © 2019 광주이씨 석전종중.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