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이씨 소개 / 세거지 / 보성의 광이 낙남 유래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광주이씨 소개 / 세거지 / 보성의 광이 낙남 유래

광주이씨 소개 / 세거지 / 보성의 광이 낙남 유래

세거지 : 칠곡의 입향유래 보성의 광이낙남 유래




보성의 광이 낙남 유래

 

지금으로부터 400 여년 전 전라도 땅 동남쪽 보성 한실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에 자리 잡으신 휘 수관(諱 秀莞-한자로는 '수자 완'으로 읽으나 보성의 후손들은 '수자 관'으로 읽음)은 우의정이신 충희공 휘 인손을 증조로 좌찬성이신 광원군 휘 극돈(克墩) 조부로 감사공이신 휘 세정(世貞)의 다섯 번째 아들로 연산 경신(燕山庚申1500년)에 출생하셨다.


자는 군서(君瑞)요 호는 양진제(養眞齊)라 하였으며 公은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나 문학으로 세상의 추앙을 받았으며 公께서 남하하여 보성땅에 자리 잡으신 연유는 정확한 문헌이 유실되어 고증할 수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선고(先考) 감사공께서 전라감사 재임 시 각 고을을 순시하던 중 보성조성원에 도착하게 되었다.


그 고을은 산자수려하고 들이 넓고 인심이 온화할 뿐 아니라 앞쪽에는 바다가 보여 매우 살기 좋은 고을이었다.


그 고을「도성면 대곡리 한실」에는 전주이씨이며 임성부수 이언정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종실(宗室)로서 그 고을에서는 부호로 지내면서 상당한 추앙을 받고 있었다. 한데 임성부수 이언정(李彦廷)은 아들을 두지 못하고 외동딸만을 두고 있었으며 감사공께서는 아들 다섯분을 두셨는데 다섯째 아들이신 公만이 미혼이셨다.


감사공께서 그 고을에 도착하자 임성부수 이언정의 집에 公께서 머무르게 되여 남쪽으로 내려오게 된 것이 아닌가 싶으며 한편 公의 돌아가신 어머니인 정부인 전주이씨 종실 효령대군의 증손녀로서 전주이씨와의 외가로 인한 혈록(血綠)에서 오는 혼인이 아니었나하는 추측이 든다.


또한 이언정의 양위분(兩位分) 묘소가 역시 公의 묘소상단에 위치한 점으로 보아 그러한 구전이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는 듯 하다.


공의 시사일(時祀日)에 임성부수 이언정 양위분의 시사(時祀)도 같은 날짜에 외손들인 광이(廣李)의 보성종중 자손들이 현재까지도 제사하고 있다.


이 시사(時祀)는 영원히 지속될 것으로 본다.


공은 중종이십육년신묘(1531) 31세 때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서사(筮사)로 곡성 임실, 구례, 장성 등 현감(縣監)을 역임하였으며 가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어 유적을 남겼고 특히 장성현감 재임 시에는 하서 김인후(金麟厚)선생과 더불어 도의교우(道義交友)하였으며 말년 관직은 내첨시판관에 이르렀다.


몸소 여러 사화를 겪어서 선상 은퇴의 뜻을 갖고 있었으며「관직에 몸담는 것은 나의 취할바가 아니다」라고 하였으며 퇴계(退溪) 이황(李滉)선생과는 때때로 경(經) 례(禮)를 논하기도 하였다.


또 율곡(栗谷) 이이(李珥)선생 황강(黃岡) 김계희(金繼輝) 선생 동주(東洲) 성제원(成悌元) 선생 등과 같이 형자를 호서에 짓고 도학과 성리학을 강론하니 여러 선생들이 항상 친구로서 대접하였다. 이분들이 강론을 폈던 오현정(五賢亭) 옛터가 해동록(海東錄)에 기재되어 있으나 어디인지 알 수가 없다.


또한 해동록(海東錄)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우계(牛溪) 성혼(成渾) 선생이 公에게 보낸 서찰에서 말하기를 거년(去年)에 율곡옹(栗谷翁)이 서쪽으로 돌아가고 금년에 이수완(李秀莞)이 남하할 뜻을 갖고 있으니 나의 도가 외롭다 하였다.


만년에 부귀를 버리고 홀연이 남하하여 보성땅 '한실‘에 자리를 잡고 퇴거하여 앞쪽에는 푸른 바다가 보이고 뒤쪽에는 계산천석(溪山泉石)의 승경(勝景) 속에 거가(居家)의 서쪽에 양진암(養眞庵)을 지어 호를 양진제(養眞薺)라 하고 집의 북쪽에 매월당(梅月堂)이란 정자를 지어 시와 경서를 벗 삼아 여생을 한가로이 보내시었다.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공이 진위한 매월당(梅月堂) 정자는 헐어 없어지고 그 후 자손들이 뜻을 모아 다시 매월당(梅月堂) 정자를 중건하여 도내 석학 유림 후손 200여명이 매월당 시회를 조직 매년 음4월9일에는 공을 추모하는 시회를 열고 있다.


여기 매월당(梅月堂) 원원을 소개하면 투불귀래만사경(投歸來萬事輕). 십년증피멱부명(十年曾被覓浮名). 춘일대곡매향동(春日大谷梅香動). 추입장천월색명(秋入長天月色明). 우과룡추사사설(雨過龍湫沙似雪). 야심어점화여성(夜深漁店火如星). 종금잉득유한취(從今剩得幽閑趣). 만안계산불세정(滿眼溪山不世情).


자손들에게는 시와 예로서 훈계하였고 성품은 사치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선조들의 가르침에 쫓아 가법을 세웠다.


눌헌(訥軒) 이사균(李思勻)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 둔암(鈍庵) 안축 눌제(訥齊) 박상(朴祥)등과 종유(從遊)하였으며 의리가 상통하였다. 선조 5년 임신(1572) 2월10일에 별세하니 향년 73세이다.


배위(配位)는 숙인 전주이씨이며 종실 임성부수 이언정의 따님으로 묘소는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 을좌원이며 합장으로 모셔있다.


공의 옛터 한실에는 종중(宗中)과 자손들의 결의로 갑인(甲寅1974)년에 마을 앞에 유장비(遺庄碑)를 건위하였으며 매년 음력 10월10일 시제일에는 자손 수백 명이 시제에 참례하고 있다.


公이 남하하여 보성에 정착하게 되니 보성입향중조(寶城入鄕中祖)로 지금까지 약400여년에 이르렀으며 자손이 크게 번창하여 보성을 중심으로 해방 전까지만 해도 200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었으나 산업사회의 발달로 전국 각지로 이거하여 지금은 700 여 가구 정도 거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 대종회 참조==



광주이씨 석전종중

  • 010-2068-2831
  • 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귀암
  • 제작/관리이광호
  • 로그인하셔야합니다.질문과답변, 자유게시판등
  • 질문과답변
Copyright © 2019 광주이씨 석전종중. All rights reserved.